releases

이미지와 사운드의 경계에서 실험적인 작업을 전개하며 소규모 발매를 중심으로 독립 레이블로써의 기능을 합니다.
映像とサウンドの境界で実験的な制作を行い、小規模なリリースを中心に活動するインディペンデント・レーベルです。
Engages in experimental work at the intersection of image and sound, functioning as an independent label centered on small-scale releases.





20250601
by sunwoo shawn kim










sound   music,  final mixing n mastering
2d   graphic design, editorial design
genre  alternative, soundtrack
format  single





︎ Listen on Apple music
︎ Listen on Spotify
︎ Listen on Youtube Music




sunwooshawnkim의 새로운 싱글 20250601 신시사이저 사운드의 질감에 대한 정밀한 접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전체적인 구성은 비교적 간결하지만, 각 트랙은 사운드의 층위와 질감의 세부 조정을 통해 미묘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sunwooshawnkim の新しいシングル「20250601」は、シンセサイザー・サウンドの質感に対する精密なアプローチを基盤に制作されました。全体の構成は比較的ミニマルですが、各トラックでは音のレイヤーや質感の細やかな調整によって微妙な差異が生まれています。

sunwooshawnkim’s new single 20250601 is based on a precise approach to the texture of synthesizer sounds. While the overall composition is relatively minimal, each track introduces subtle variations through careful layering and detailed adjustments of tone and texture.



이번 작업의 핵심은 음색의 변화에 대한 실험이다. 특정 주파수 대역의 조정, 필터의 미세한 변화, 잔향의 조절 등을 통해 각 소리 요소가 어떻게 전체 곡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적용했다. 이러한 접근은 결과적으로 일관되면서도 유동적인 사운드 환경을 구성하며, 반복되는 구조 안에서도 다양한 청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本作の核心は、音色の変化に関する実験にあります。特定の周波数帯の微調整、フィルターの繊細な操作、残響の調整などを通じて、各音の要素が曲全体の雰囲気にどのように影響するかを分析し、それを反映させています。このアプローチにより、一貫性を保ちながらも柔軟性のあるサウンド環境が構築され、反復的な構造の中でも多様な聴覚体験が可能になります。

At the core of this work lies an experiment in timbral modulation. By fine-tuning specific frequency ranges, applying delicate filter movements, and adjusting reverberation, the artist explores how each sonic element affects the atmosphere of the piece as a whole. This approach results in a coherent yet fluid sonic environment, allowing for a variety of listening experiences within a repetitive structure.



트랙의 구성은 특정 서사나 감정의 극대화보다는, 청각적 탐색의 과정에 가깝다. 음악은 특정한 메시지를 강요하지 않으며, 각 청자는 사운드를 개별적으로 해석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トラックの構成は、特定の物語性や感情の高まりを目指すというよりも、聴覚的な探求のプロセスに近いものです。明確なメッセージを提示するのではなく、リスナーが各サウンドを自由に解釈し、受け取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設計されています。

Rather than emphasizing narrative or emotional climaxes, the track is closer to a process of auditory exploration. It avoids imposing a fixed message, enabling each listener to interpret and engage with the sounds on their own terms.



이번 앨범은 작곡과 프로덕션 과정에서 기술적 미세 조정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며, 음악을 청취의 대상이자 분석의 대상으로 확장한다.

本作は、作曲およびプロダクションにおいて技術的な微調整の重要性を改めて示すと同時に、音楽を鑑賞の対象であると同時に分析の対象として拡張する試みでもあります。

This single reaffirms the importance of subtle technical modulation 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expanding the act of listening into both an aesthetic and analytical experience.





filed under

year
#2025
brand
#ssk
sound
#phisical album
2D
#design